맨위로가기

기쁘다 구주 오셨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쁘다 구주 오셨네"는 잉글랜드의 목사 아이작 와츠가 작사하고, 로웰 메이슨이 편곡한 찬송가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불리는 크리스마스 캐럴 중 하나이다. 시편 98편과 창세기 3장에 대한 기독교적 해석을 바탕으로, 예수의 재림과 온 세상의 기쁨을 노래한다. 일본에서는 번역 가사와 곡의 조합 방식의 차이로 인해 다른 국가와는 다른 형태로 불리기도 했지만, 현재는 동일한 가사로도 불리고 있다.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미쳐, 음악, 방송, 패러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19년 작품 - 피에로 (바토)
  • 18세기 문서 - 신앙 감정론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 감정론》은 회심에서 감정과 지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칼뱅주의 신학에 기반해 진정한 종교적 경험을 판단하는 시험을 제시하고 성령의 열매인 사랑이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라고 주장하는 종교적 개종에 관한 책으로, 복음주의 진영과 현대 신학에 영향을 미쳤다.
기쁘다 구주 오셨네
곡 정보
제목기쁘다 구주 오셨네 (Joy to the World)
장르찬송가
용도크리스마스
가사아이작 와츠
언어영어
발표 연도1719년
원작성경 시편 98편
미터8.6.8.6 보통운율 (C.M.)
곡조"Antioch"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작곡, 로웰 메이슨 편곡
작곡 연도미상
발표일2009년 12월 1일

2. 역사

『기쁘다 구주 오셨네』의 곡명인 『안티오크』는 영어권에서는 "Joy to the World!"의 가사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서구에서는 찬송가의 곡과 가사를 굳이 결합하지 않고, 음률(미터)이 일치하면 같은 가사를 다른 곡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찬송가 참조)

1923년 일본에서 발행된 노래집 「찬송가」에는 제57번에 "Hark the glad sound!"의 번역 가사 『기쁘다 구주 오셨네』에 『안티오크』 곡을 맞춘 악보와, 제58번에 "Joy to the World!"의 번역 가사 『온 세상 기뻐하라』에 『윈체스터 올드』 곡을 맞춘 악보가 함께 실렸다. 이때 『안티오크』로도 부를 수 있다는 주석이 달렸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가사와 곡을 임의로 조합하는 문화가 없었기에, 이러한 게재 방식은 오히려 『기쁘다 구주 오셨네』에 『안티오크』 곡이 고정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온 세상 기뻐하라』를 『안티오크』 곡으로 부르려면 가사에 반복부를 만드는 변형이 필요해 거의 불리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안티오크』는 『기쁘다 구주 오셨네』의 전용 곡으로 인식되었고, 『온 세상 기뻐하라』는 1931년 찬송가 개정에서 빠졌다. 그러나 1958년 일본 복음 연맹의 「성가」 제122번에 나카다 우고가 번역한 "Joy to the World!"에 『안티오크』를 맞춘 『온 세상 기뻐하라』가 수록되었고, 2002년 「성가」(종합판) 제70번으로 이어졌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크리스마스 캐럴인 이 곡은 일본에서 다른 가사로 불리다가, 성가·성가(종합판)를 통해 원래 가사로도 불리게 되었다. 1954년의 찬송가 112번, 가톨릭 성가 654번에도 수록되었다.

2. 1. 기원

아이작 와츠는 시편 98편과 창세기 3장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기쁘다 구주 오셨네"의 가사를 썼다.[2] 이 곡은 1719년 와츠의 시집 ''다윗의 시편: 신약의 언어로 모방되었으며, 기독교 상태와 예배에 적용됨''에 처음 수록되었다.[2] 와츠는 이 찬송가를 크리스마스 캐럴로 쓰지 않았는데, 가사가 예수의 동정녀 탄생을 반영하지 않고, 오히려 그리스도의 재림을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3] 창세기 3:17–19를 암시하는 3절은 시편 내용보다는 죄의 영역에서 승리적으로 확장되는 그리스도의 축복에 대해 이야기한다.[3] "저주가 있는 곳까지"라는 구절의 경쾌한 반복 때문에 이 연은 일부 찬송가에서 생략되기도 했다.[3] 4절은 열방에 대한 그리스도의 통치를 찬양한다.[3] 열방은 하나님의 이스라엘 집에 대한 신실함이 세상에 구원을 가져왔기 때문에 기뻐하라고 부름을 받는다.[4]

아이작 와츠, "기쁘다 구주 오셨네"의 가사 저자

2. 2. 음악

오늘날 일반적으로 불리는 멜로디는 로웰 메이슨이 1848년에 ''The National Psalmist''를 위해 편곡한 것이다.[6][3] 메이슨은 이미 "내 주를 가까이 하옵소서"와 "십자가 짊어지고" 등의 찬송가에 사용된 "베다니", "함부르크"와 같은 멜로디를 작곡하여, 당시 숙련되고 유명한 작곡가이자 편곡가였다. 메이슨이 1848년에 현재 멜로디를 출판한 것은 네 번째였다. 1836년 ''Occasional Psalm and Hymn Tunes''에 처음 출판되었는데, 현재 멜로디(다른 편곡)와 가사가 포함되어 있었고, 이것이 최초의 출판이었다. 이 멜로디는 "Antioch"(안티오크)라는 이름이 붙여졌고, 헨델에게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졌다.[7] 현재의 편곡과 매우 유사한 멜로디와 가사는 메이슨의 1839년 저서 ''The Modern Psalmist''에 함께 출판되었다. 여기에도 "Antioch"라는 제목과 함께 헨델에게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졌다.[8]

음악적으로 "기쁘다 구주 오셨네"의 처음 네 마디는 헨델의 ''메시아''의 합창 "너희 머리를 들라"의 처음 네 마디와 같고, 셋째 줄은 ''메시아''의 아리오소 "위로하라"와 같다. 그 결과, 메이슨이 헨델에게 곡을 귀속시키면서 ''메시아''가 "기쁘다 구주 오셨네"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추측이 오랫동안 있었다.[9] 그러나 ''메시아''와 "기쁘다 구주 오셨네" 사이의 제한적인 유사성은 오늘날 헨델 학자들에 의해 '우연의 일치'로 일축되었다.[10]

하지만 Antioch, 헨델, 메이슨보다 먼저 존재했을 공통의 원천 가능성은 유사성이 우연의 일치 이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헨델은 독일 출신으로 영국으로 이주하기 전에는 루터교 신자였으며, 그의 교파의 찬송가 레퍼토리에 익숙했을 것이다. 또한 메이슨은 헨델의 음악을 매우 존경하고 연구했으며, 실제로 1827년 보스턴 헨델과 하이든 협회의 회장이 되었고,[11] 편집자이기도 했다.[12]

1830년대 초반에 "Antioch"와 매우 유사한 여러 멜로디가 발견되었는데, 가장 먼저 발견된 것은 1832년에 "Comfort"(아마도 헨델의 "Comfort ye"에 대한 경의의 표시)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13] 이것은 메이슨이 "Antioch"를 처음 출판한 것보다 최소 4년 더 오래된 것이다. 1830년대 초반의 다른 출판물은 멜로디가 메이슨이 편곡을 출판하기 전에 오랫동안 존재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토마스 호크스는 1833년 그의 ''Collection of Tunes''에 "Comfort" 멜로디를 출판했는데, 단순히 "작자 미상"으로만 표기하여 더 오래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14][15] 1986년 존 윌슨의 기사는 "Antioch"가 1833년 출판된 "Comfort"와 웨슬리의 찬송가 "O Joyful Sound"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6]

로웰 메이슨이 헨델의 《메시아》의 일부를 토대로 이 곡을 편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음악계에서 흔히 있는 권위의 차용으로, 실제로는 유사한 모티프가 있을 뿐 거의 메이슨의 오리지널 곡으로 보아도 좋다.

3. 가사

"기쁘다 구주 오셨네"는 4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3절은 종종 생략된다.[18]

: 기쁘다 구주 오셨네!

: 온 세상 왕을 맞으라;

: 온 마음 다하여 주를 맞이해

: 하늘과 자연이 노래하네,

: 하늘, 하늘, 자연이 노래하네.

: 기쁘다 구주 오셨네! 구세주가 다스리시네;

: 사람들은 노래 부르세;

: 들판과 강물, 바위, 언덕, 평원들이

: 기쁨의 소리 반복하네,

: 반복, 반복, 기쁨의 소리.

: 더 이상 죄와 슬픔 자라지 못하리,

: 가시나무 땅을 뒤덮지 못하리;

: 주님은 복을 주시기 위해 오셨네

: 저주가 미치는 곳까지,

: 저주, 저주가 미치는 곳까지.

: 주님은 진실과 은혜로 세상을 다스리시네,

: 만방이 증명하리라

: 주님의 의의 영광을,

: 그리고 사랑의 경이로움을,

: 그리고 경이로움, 경이로움, 사랑의 경이로움을.[3]

일본 기독교단 찬미가 위원회 편찬 「찬미가」(1954년) 112번을 준거, 일부 한자화한 가사는 다음과 같다.

: 뭇 백성들아, 기뻐하며 맞이하라

: 오래 기다리던 주님 오셨네

: 주님 오셨네 주님, 주님 오셨네

: 악마의 쇠사슬을 부수시고

: 포로들을 놓아주러 주님 오셨네

: 주님 오셨네 주님, 주님 오셨네

: 이 세상 어두운 길을 밝히시네

: 묘한 빛의 주님 오셨네

: 주님 오셨네 주님, 주님 오셨네

: 시든 마음의 꽃을 피우시고

: 은혜의 이슬 내리시는 주님 오셨네

: 주님 오셨네 주님, 주님 오셨네

: 평화의 왕 되신 아들을 맞이하여

: 구원의 주로 찬양하여라

: 찬양하여라 찬양, 찬양하여라

찬송가 위원회 편 「찬송가」(1922년) 58번에 준거, 일부 한자화, "안티오크" 창법에 증보된 가사이다.

나카타 우고 번역은 저작권이 존속 중이므로 생략되었으며, 현행 「성가(종합판)」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만민 기뻐하라 주님 오셨네

: 마음을 열고 맞이하세

: 맞이하세 마음을 열고

: 은혜의 빛 세상에 두루

: 바다 산 섬들아 노래하여라

: 노래하여라 바다 산 섬들아

: 저주받은 땅에도 가시 돋지 않고

: 행복 있으라 축복하시네

: 축복하시네 행복 있으라

: 올바른 심판을 행하시네

: 우리 주님의 뜻에 모두 따르세

: 모두 따르세 우리 주님의 뜻에

3. 1. 원문 (영어)

Joy to the world! the Lord is come|조이 투 더 월드! 더 로드 이즈 컴영어

Let earth receive her King|렛 어스 리시브 허 킹영어

Let every heart prepare him room|렛 에브리 하트 프리페어 힘 룸영어

And heaven and nature sing|앤드 헤븐 앤드 네이처 싱영어

And heaven and nature sing|앤드 헤븐 앤드 네이처 싱영어

And heaven, and heaven, and nature sing|앤드 헤븐, 앤드 헤븐, 앤드 네이처 싱영어

Joy to the world! the Saviour reigns|조이 투 더 월드! 더 세이비어 레인즈영어

Let men their songs employ|렛 멘 데어 송즈 임플로이영어

While fields and floods, rocks, hills, and plains|와일 필즈 앤드 플러즈, 락스, 힐즈, 앤드 플레인즈영어

Repeat the sounding joy|리피트 더 사운딩 조이영어

Repeat the sounding joy|리피트 더 사운딩 조이영어

Repeat, repeat the sounding joy|리피트, 리피트 더 사운딩 조이영어

No more let sins and sorrows grow|노 모어 렛 신즈 앤드 소로즈 그로우영어

Nor thorns infest the ground|노어 쏜즈 인페스트 더 그라운드영어

He comes to make His blessings flow|히 컴즈 투 메이크 히즈 블레싱즈 플로우영어

Far as the curse is found|파 애즈 더 커스 이즈 파운드영어

Far as the curse is found|파 애즈 더 커스 이즈 파운드영어

Far as, far as, the curse is found|파 애즈, 파 애즈, 더 커스 이즈 파운드영어

He rules the world with truth and grace|히 룰즈 더 월드 위드 트루스 앤드 그레이스영어

And makes the nations prove|앤드 메이크스 더 네이션즈 프루브영어

The glories of His righteousness|더 글로리즈 오브 히즈 라이처스니스영어

And wonders of His love|앤드 원더즈 오브 히즈 러브영어

And wonders of His love|앤드 원더즈 오브 히즈 러브영어

And wonders, wonders, of His love|앤드 원더즈, 원더즈, 오브 히즈 러브영어[18]

아이작 와츠의 원문 가사는 4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절은 그리스도의 오심과 통치, 죄로부터의 구원, 그리고 온 세상의 기쁨을 노래한다.

3. 2. 한국어 번역

한국에서는 이 곡이 여러 번역으로 알려져 있다. 개신교에서는 주로 두 가지 번역이 사용되는데, 하나는 1954년에 발행된 찬송가 112장 "모두 기뻐하여라"이고, 다른 하나는 성가(종합판) 70번 "온 세상 기뻐하라"이다. "모두 기뻐하여라"는 'Hark the glad sound!'를 번역한 가사에 안티오크 곡을 붙인 것이고, "온 세상 기뻐하라"는 'Joy to the World!'를 번역한 가사에 안티오크 곡을 붙인 것이다.

가톨릭 성가에도 "기쁘다 구주 오셨네"라는 제목으로 이 곡이 수록되어 있다. 이 번역 가사들은 원문의 의미를 최대한 살리면서도 한국적인 정서에 맞게 표현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본에서는 1923년에 발행된 노래집 「찬송가」에서 'Hark the glad sound!'의 번역 가사 '기쁘다 구주 오셨네'에 안티오크 곡을 붙인 악보와, 'Joy to the World!'의 번역 가사 '온 세상 기뻐하라'에 윈체스터 올드 곡을 붙인 악보를 함께 제시하며, '안티오크'로도 부를 수 있다고 주석을 달았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가사와 곡을 자유롭게 조합하는 문화가 없었기 때문에, '기쁘다 구주 오셨네'가 안티오크 곡의 전용 가사처럼 인식되었고, '온 세상 기뻐하라'는 1931년 찬송가 개정에서 제외되었다.

하지만 1958년 일본 복음 연맹의 성가에서 나카다 우고가 번역한 'Joy to the World!' 가사에 안티오크 곡을 붙인 '온 세상 기뻐하라'가 다시 수록되었고, 이는 2002년 발행된 성가(종합판) 70번으로 이어졌다.

1954년판 찬송가 112장은 다음과 같다.

: 뭇 백성들아, 기뻐하며 맞이하라

: 오래 기다리던 주님 오셨네

: 주님 오셨네 주님, 주님 오셨네

: 악마의 쇠사슬을 부수시고

: 포로들을 놓아주러 주님 오셨네

: 주님 오셨네 주님, 주님 오셨네

: 이 세상 어두운 길을 밝히시네

: 묘한 빛의 주님 오셨네

: 주님 오셨네 주님, 주님 오셨네

: 시든 마음의 꽃을 피우시고

: 은혜의 이슬 내리시는 주님 오셨네

: 주님 오셨네 주님, 주님 오셨네

: 평화의 왕 되신 아들을 맞이하여

: 구원의 주로 찬양하여라

: 찬양하여라 찬양, 찬양하여라[1]

'Joy to the World!'는 아이작 와츠시편 98편을 바탕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다리는 노래로 만든 가사이다. 헨델오라토리오 메시아의 가사 ''And heaven and nature sing''이 노래 속에서 반복되는데, 이는 찬송가로서 안티오크 곡에 맞춰 부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1]

4. 한국에서의 수용과 의미

"기쁘다 구주 오셨네"는 한국에서도 널리 불리는 찬송가 중 하나이다. 이 곡은 단순한 종교적 의미를 넘어, 한국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하위 섹션인 '문화적 영향'에서 이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4. 1. 문화적 영향

"모두 기뻐하여라"의 가사 중 "악마의 한 사람(悪魔のひとや)"은 가나로 쓰여진 것이 화근이 되어, "하룻밤(一夜)", "화살 한 발(一矢)" 등으로 잘못 해석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올바른 한자는 "사람 감옥(人牢)"이다.[1] 이 가사는 1954년 개정판에 실렸고, 1931년판까지는 "쇠(くろがね)의 문을 부수고, 포로(とりこ)를 풀어주는…"이었다.[1]

머라이어 캐리의 앨범 《메리 크리스마스》에 수록된 〈''Joy to the World''〉는 이 곡과 쓰리 도그 나이트의 〈조이 투 더 월드〉(과거 한국어 제목은 "기쁨의 세계"였다)의 메들리로 이루어져 있다.[2]

일본 가수 YUKI는 〈팅커벨〉의 인트로에 "기쁘다 구주 오셨네"의 영어 가사 일부를 사용했다.[3]

파칭코에서도 이 곡이 사용되었는데, 야마사의 플래닛 시리즈 "슈퍼 플래닛", "네오 플래닛 XX", "슈퍼 플래닛 델럭스" 및 "홀인원" 등에서 이 곡이 흘러나온다.[4]

프로 야구 오릭스 블루웨이브에서는 류타로의 현역 시절 응원가 팬파레로 사용되었다.[5]

후지 TV 계열에서 매년 크리스마스 이브 심야에 방송되는 특집 프로그램 《아카시야 산타의 사상 최대의 크리스마스 선물 쇼》에서는 오프닝의 상품 소개에서 빅 밴드의 브라스풍 오케스트라 버전이 사용된다.[6] 이 버전은 《프로 야구 뉴스》의 시즌 오프 기획으로 1992년 12월에 열린 "산마의 크리스마스 퀴즈 쇼"의 오프닝 곡으로도 사용되었다.[6]

5. 패러디

이 문단은 내용이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참조

[1] 웹사이트 Joy to the world! https://hymnary.org/[...] 2024-01-14
[2] 서적 The Psalms of David: Imitated in the Language of the New Testament, and applied to the Christian State and Worship https://archive.org/[...] J. Clarke
[3] 웹사이트 Joy to the world, the Lord is come! http://www.hymnary.o[...]
[4] 간행물 Joy to the World! https://web.archive.[...] Worship Leader Magazine
[5] 문서 For example to the tune "Warsaw" in [[Samuel Holyoke]]'s [[scores:Harmonia Americana (Holyoke, Samuel)|''Harmonia Americana'']], 1791 (p. 87)
[6] 문서 "Celebrate, Rejoice and Sing: Christmas Music in America", Roger L. Hall, PineTree Press, 2003, p. 8
[7] 문서 "No. 72: Antioch" https://web.archive.[...] Occasional Psalm and Hymn Tunes 1836
[8] 문서 The Modern Psalmist https://archive.org/[...] 1839
[9] 서적 The Shorter New Oxford Book of Carol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0] 서적 The Cambridge Handel Encycloped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11-26
[11] 학위논문 Lowell Mason: His Life and Work University of Minnesota 1971
[12] 서적 The Modern Psalmist https://archive.org/[...] 1839
[13] 문서 Psalmodia Britannica ca. 1831
[14] 문서 Collection of Tunes Thomas Whitehorn 1833
[15] 웹사이트 Psalm 98 – Joy to the World with 'Antioch' ('Comfort') https://web.archive.[...] HymnologyArchive.com 2019-03-22
[16] 문서 "The Origins of the Tune 'Antioch#REDIRECT
[17] 서적 Joel Whitburn's Pop Memories 1890–1954 Record Research Inc 1986
[18] 웹사이트 What are the lyrics to 'Joy to the World', who composed the carol and what does it mean? https://www.classicf[...] 2024-01-14
[19] 웹사이트 安田理大オフィシャルブログ http://blog.lirionet[...] 2016-12-18
[20] 웹사이트 http://www.christ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